지나간 실습이지만 기록을 남겨둠.

 

학습주제 : 나만의 전통 문양 만들기(연차시 구성)

교과서 내용 : 오방색을 알아보고, 오방색을 사용하여 전통문양을 색칠한 다음, 색도화지에 붙여 족자를 만든다.

 

내용 재구성

준비하기 - 차시 주제 확인. '전통은 알고 있는데 문양은 무엇일까요?' 학생들 대답 취합해서 정리
'아하, 전통 문양이란 ~이군요!'
- 생활 속(우리 학교, 가까운 문화재, 집에 있는 물건 등)에서 볼 수 있는 전통 문양 찾기 '이곳은 어디일까요?'
탐색하기 - 표현 요소(전통 문양의 색과 형태) 관찰하기
전통 문양 사진을 보고 사용된 색 확인. 처음에는 삼색 태극에서 시작해서 점차 복잡한 문양으로 나아감. 학생들이 대답한 색과 같은 색의 색종이를 칠판에 붙임. 최저 10색에서 최대 14색까지 의도함.
색을 찾고 나면 그 문양의 형태에 대해서도 이야기함. 원, 정사각형 이외에도 육각형, 긴 직사각형 등 다양하게 준비함. 문양의 주제도 태극, 과일, 구름, 나비, 꽃 등 다양하게 준비함.
표현 놀이하기 - 학습지는 두 가지. 전통 문양, 전통 문양 틀
- 자신이 색칠하고 싶은 문양 주제(태극, 복숭아, 나비, 물고기, 꽃 등)를 선택해서 오린 뒤, 전통 문양 틀(육각형, 원, 사각형 등) 중 하나에 붙임. 다시 틀을 오려서 색지에 붙임. 탐색하기 단계에서 찾은 색만 이용해서 채색.
- 채색 도구는 무엇을 써도 상관 없지만 칠판에 붙어 있는 색종이와 같은 색만 사용해야 함.
정리하기 - 전통 문양의 특징(색, 주제) 이야기하기

재구성 주안점

- 지도서에는 오방색이 나와있지만 사실 전통 문양에는 오방색만 쓰는 것 아님. 오방색 쓰는 게 더 찾기 힘들다.

- 문양을 단순히 색칠하는 것은 이미 유치원 등에서 해보았을 것이다. 흥미가 다소 떨어질 거라 예상

- 특히 원 형태의 전통 문양, 떡살 문양, 태극 문양은 많이 색칠 해보았을 것이라 예상. 조상들은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온갖 내용을 꾸몄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.

 

수업 소감

- 내가 잘 할 수 있는 부분(전직 박물관 알바생+가이드+사학 전공)이어서 욕심을 많이 부렸다. 내 생각이 잘 구현될 수 있도록 여러가지 길을 제시해준 지도 선생님께 감사할 따름이다.

- 일부러 오방색으로 가지 않았다. 전통 문양을 찾아보면 알겠지만 오방색만 쓴 전통 문양은 거의 없다. 10가지 색으로 생각해야 한다.

- 꽃 모양만 하고 싶지 않았다. 아이들에게 오개념을 심어줄 수도 있다고 했다. 꽃 문양만 많이 봤다면 이제는 다양한 문양을 배울 수 있게 해주고 싶었다. 그리고 이 생각은 적중했다. 구름문양, 복숭아, 물고기 보는 순간 모두 눈이 휘둥그레졌다.

- 도입부에서 '문양이 무엇일까요?'라는 질문을 했을 때 다양한 대답이 나왔다. 가장 인상 깊은 것은 '옛날에 문화적으로 의미가 있었던 모양'. 그 대답에 다른 대답을 똘똘 뭉쳐서 '아, 그렇다면 전통 문양은 이런 것이겠군요.'하고 정리했다.

- 아찔했던 순간은 표현 놀이 들어가면서 문양 활동지 나눠주자마자 '선생님, 색칠하면 되요?'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. 활동을 한 번 안 꼬았으면 큰일났겠다 싶었다. 거의 모든 아이들이 유치원에서, 돌봄 교실에서 문양 색칠 다 한 번씩 해봤다.

- 교과서, 사용하는 도구를 정리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. 교과서 넣으라고 안 했더니 책상이 북적북적했다.

- 1학년 학생들은 아직 시계볼 줄 모름. '긴 바늘이 2에 갈 때까지 하는 거에요. 긴 바늘이 어디에 갈 때까지 한다고 했죠? -2요!' 이렇게 가야 한다.

- 수업 정리를 제대로 못했다. 수업 정리 참 어렵다.

- 작품이 하나 같이 개성적이었다. 이것저것 해주고 싶은 마음에 온갖 도안을 다 가져와서 그렇겠지만.

 

더보기

활동지

이걸 색칠해서 오린다.

여기다가 붙이고 오린다.

색지에 붙여서 족자 완성!

 

참고하면 좋은 자료

문화포털 사이트. 문화지식-전통문양디자인 들어가면 온갖 도안이 다 있다. https://www.culture.go.kr/tradition/designPatternList.do

 

[문화포털 전통문양] 디자인문양

문화포털에서는 전통문양은 물론 문화소식, 공연전시, 예술지식자료 등 다양한 문화예술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.

www.culture.go.kr

 

도움이 되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:)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