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과서 내용

교과서 56쪽에 있는 그림(빵집 간판, 슈가 파우더 뿌릴 때, 앞치마 만들 때 공판화 활용함)을 보고 공판화에 흥미를 가지고 실생활에서 쓰임을 생각하기

 

재구성 과정

- 교과서에는 그림 하나 덜렁 내어놓고 지도서에서는 '다양한 시각 자료'를 활용해서 수업하라고 했다. 얼떨결에 두 학기 연속 비상교육 미술 교과서를 만나게 되었다. 저번 학기에는 나에게 작품 두 개 주고 비교 감상도 하고, 조형 요소도 감상하고, 시대적 상황을 고려한 감상도 하라고 하더니 이번에는 그림 하나 주고 공판화의 원리도 알고 실생활 속 공판화를 알아보도록 하라고 했다. 비상교육 미술 지도서 발문은 비현실적이다. '우리 생활 속에서 공판화는 어디에서 볼 수 있나요?'라고 선생님이 물으면 아이들이 알아서 척척 대답한다. 추가 참고 자료 안내도 없다. 그러면서 나보고 매번 다양한 시각 자료를 활용하라고 한다. 홍익대 출신 저자 여러분 월급 날로 드셨다.

- 내가 맡은 것은 체험 차시. 교육과정 문서를 열어봤더니 실생활이 중요하다더라.

- 하지만 교과서 한 페이지로 40분을 어떻게 하지? 아이들이 공판화의 특징을 토의할 수 있을까? 40분을 어떻게든 하자.

- 공판화의 특징 <같은 그림을 여러 장 찍을 수 있다. 같은 형태 다른 색의 그림을 제작할 수 있다. 손으로 그리는 것보다 쉽게 그림을 그릴 수 있다. 앞뒤가 바뀌지 않는다.>을 잘 느끼게 해주고 싶었다. 종이를 주고 어떤 모둠이 더 많이 찍어내는지 대결하는 활동, 모둠 협동화처럼 찍어내는 방법 등등을 생각했지만 머릿속에서 시뮬레이션이 되지 않았다.

- 학습 제재로서의 공판화의 장점이 무엇이 있을까? 반복을 통해 통일, 율동 같은 조형 원리를 느낄 수 있다. 같은 도안을 여러 색으로 칠해보면서 보색대비 같은 조형 요소도 확인할 수 있다. 하지만 조형 요소를 넣으려니 표현 차시,, 감상 차시처럼 되어버렸다. 그래서 내려놓았다.

- 같은 차시를 맡은 다른 반 교생들은 모두 판을 파서 주고 찍어보는 활동을 하기로 했다고 한다. 다음 차시가 판을 구상해서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허점을 이용하자는 것. 나도 거기에 편승했다. 판을 20장 파서 주었다.

- 빠른 시간 안에 여러 개 찍기 위해 제한 시간은 5분 주고 그 안에 2~3개 찍도록 했다. 물감 색도 2가지로 정해주었다.

 

재구성

반응 형성 생활 속에서 공판화를 활용한 사례 알아보기
- 모양자 → 카페 벽 그림 → 티셔츠 인쇄 과정
- 세 가지의 공통점 떠올리기
<그리고 싶은 모양이 구멍으로 되어 있다. 구멍을 활용하여 그림을 그린다 등>
- 앞에서 찾아본 공판화의 특징과 공판화 한자(구멍 공孔 널판지 판板 그림 화畵) 보고 '공판화 기법' 정의하기
반응 명료화 공판화 체험하기
- 주어진 도안(A3크기)을 물감과 스펀지를 이용해서 5분 내에 그림 2~3개 찍어내기
반응 심화 공판화의 특징 이야기하기
- 모둠별로 공판화의 특징 찾아서 허니콤보드에 써보기
공판화의 특징을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이야기하기
- '나도 발표' 방식으로 자신이 공판화 기법을 활용하고 싶은 곳 이야기하기
정리 및 발전 공판화의 원리 정리하기
수업에서 느낀 점 나누기

 

수업소감

- 유튜브의 영상을 바로 링크를 걸어 보여주지 않고 느린 속도로 움짤을 따서 보여주었다. 움짤을 수업에서 써본 것은 처음이었는데, 내가 원하는 속도로 늘려서 캡처할 수 있었고 따로 링크 들어가고 나오고 하지 않아도 되어 좋았다. 음 이거 편리하네.

- 공판화 판은 자르기는 OHP필름이 좋지만 색칠하기에는 울퉁불퉁한 PVC 제본 표지 쪽이 좋다.

- 미술에서는 재료와 용구 준비와 정리까지 준비해야 한다. 물감을 쓰고 났더니 학생들이 수업 내용에 집중하지 않았다. 아예 수업을 잠시 멈추고 3분간 정리할 시간을 주었더니 다들 어디선가 물티슈를 꺼내어 싹싹 깨끗이 정리했다.

- 모둠별로 공판화의 특징을 찾아서 쓴다는 것이 잘 되지 않았다. 원래 의도는 모둠별로 토의해보고 2~3가지를 2~3개의 허니콤보드에 나누어 쓰는 것이었다. 결국은 각자 쓰고 있었다.

- 허니콤보드를 붙이면서 유목화하라고 해야 했는데 그걸 잠시 잊었다. 그래서 2~3명의 학생을 따로 불러내어 정리하도록 했는데 그 시간동안 다른 학생들은 자유시간이 되어버렸다.

- 내가 수업 시작 시간을 착각해서 대참사가 일어날 뻔했다.

- 이 반의 특징은 빠른 완성보다는 완성 자체에 의미를 두는 분위기였다. 그래서 스텐실 2개 찍어내기만 하는 데 5분을 주었는데, 5분 안에도 2장 찍는게 힘들었다. (담임선생님도 느긋한 분이었다.) 왜냐하면 학생들이 천천히, 꼼꼼히 칠하면서 밀어서 칠했을 때와 찍어서 색칠했을 때 비교하고, 물감 두 가지를 섞어서 칠하면서 이런저런색 만들어보느라 하나 찍는 데 5분이 필요했다. 이렇게 발견하는 분위기 엄청 좋았다. 문제는, 이게 내 평가수업이라는 거지.

- 정말 지도서와 교과서가 하나도 도움이 되지 않아서 준비 과정이 너무 힘들었다. 지금까지 실습 수업 중에 가장 준비 과정이 버거웠던 수업.

지나간 실습이지만 기록을 남겨둠.

 

학습주제 : 나만의 전통 문양 만들기(연차시 구성)

교과서 내용 : 오방색을 알아보고, 오방색을 사용하여 전통문양을 색칠한 다음, 색도화지에 붙여 족자를 만든다.

 

내용 재구성

준비하기 - 차시 주제 확인. '전통은 알고 있는데 문양은 무엇일까요?' 학생들 대답 취합해서 정리
'아하, 전통 문양이란 ~이군요!'
- 생활 속(우리 학교, 가까운 문화재, 집에 있는 물건 등)에서 볼 수 있는 전통 문양 찾기 '이곳은 어디일까요?'
탐색하기 - 표현 요소(전통 문양의 색과 형태) 관찰하기
전통 문양 사진을 보고 사용된 색 확인. 처음에는 삼색 태극에서 시작해서 점차 복잡한 문양으로 나아감. 학생들이 대답한 색과 같은 색의 색종이를 칠판에 붙임. 최저 10색에서 최대 14색까지 의도함.
색을 찾고 나면 그 문양의 형태에 대해서도 이야기함. 원, 정사각형 이외에도 육각형, 긴 직사각형 등 다양하게 준비함. 문양의 주제도 태극, 과일, 구름, 나비, 꽃 등 다양하게 준비함.
표현 놀이하기 - 학습지는 두 가지. 전통 문양, 전통 문양 틀
- 자신이 색칠하고 싶은 문양 주제(태극, 복숭아, 나비, 물고기, 꽃 등)를 선택해서 오린 뒤, 전통 문양 틀(육각형, 원, 사각형 등) 중 하나에 붙임. 다시 틀을 오려서 색지에 붙임. 탐색하기 단계에서 찾은 색만 이용해서 채색.
- 채색 도구는 무엇을 써도 상관 없지만 칠판에 붙어 있는 색종이와 같은 색만 사용해야 함.
정리하기 - 전통 문양의 특징(색, 주제) 이야기하기

재구성 주안점

- 지도서에는 오방색이 나와있지만 사실 전통 문양에는 오방색만 쓰는 것 아님. 오방색 쓰는 게 더 찾기 힘들다.

- 문양을 단순히 색칠하는 것은 이미 유치원 등에서 해보았을 것이다. 흥미가 다소 떨어질 거라 예상

- 특히 원 형태의 전통 문양, 떡살 문양, 태극 문양은 많이 색칠 해보았을 것이라 예상. 조상들은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온갖 내용을 꾸몄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.

 

수업 소감

- 내가 잘 할 수 있는 부분(전직 박물관 알바생+가이드+사학 전공)이어서 욕심을 많이 부렸다. 내 생각이 잘 구현될 수 있도록 여러가지 길을 제시해준 지도 선생님께 감사할 따름이다.

- 일부러 오방색으로 가지 않았다. 전통 문양을 찾아보면 알겠지만 오방색만 쓴 전통 문양은 거의 없다. 10가지 색으로 생각해야 한다.

- 꽃 모양만 하고 싶지 않았다. 아이들에게 오개념을 심어줄 수도 있다고 했다. 꽃 문양만 많이 봤다면 이제는 다양한 문양을 배울 수 있게 해주고 싶었다. 그리고 이 생각은 적중했다. 구름문양, 복숭아, 물고기 보는 순간 모두 눈이 휘둥그레졌다.

- 도입부에서 '문양이 무엇일까요?'라는 질문을 했을 때 다양한 대답이 나왔다. 가장 인상 깊은 것은 '옛날에 문화적으로 의미가 있었던 모양'. 그 대답에 다른 대답을 똘똘 뭉쳐서 '아, 그렇다면 전통 문양은 이런 것이겠군요.'하고 정리했다.

- 아찔했던 순간은 표현 놀이 들어가면서 문양 활동지 나눠주자마자 '선생님, 색칠하면 되요?'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. 활동을 한 번 안 꼬았으면 큰일났겠다 싶었다. 거의 모든 아이들이 유치원에서, 돌봄 교실에서 문양 색칠 다 한 번씩 해봤다.

- 교과서, 사용하는 도구를 정리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. 교과서 넣으라고 안 했더니 책상이 북적북적했다.

- 1학년 학생들은 아직 시계볼 줄 모름. '긴 바늘이 2에 갈 때까지 하는 거에요. 긴 바늘이 어디에 갈 때까지 한다고 했죠? -2요!' 이렇게 가야 한다.

- 수업 정리를 제대로 못했다. 수업 정리 참 어렵다.

- 작품이 하나 같이 개성적이었다. 이것저것 해주고 싶은 마음에 온갖 도안을 다 가져와서 그렇겠지만.

 

더보기

활동지

이걸 색칠해서 오린다.

여기다가 붙이고 오린다.

색지에 붙여서 족자 완성!

 

참고하면 좋은 자료

문화포털 사이트. 문화지식-전통문양디자인 들어가면 온갖 도안이 다 있다. https://www.culture.go.kr/tradition/designPatternList.do

 

[문화포털 전통문양] 디자인문양

문화포털에서는 전통문양은 물론 문화소식, 공연전시, 예술지식자료 등 다양한 문화예술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.

www.culture.go.kr

 

도움이 되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:)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