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용 공부하면서는 필기구 하나도 고민했던 것 같다. 나에게 맞는 볼펜을 찾겠다고 시중에 나온 거의 모든 종류를 한 번씩 써본 것 같다. 내 블로그를 들리는 분들도 필기구를 써보면서 맞는 걸 찾아야하겠지만, 후보군을 내가 줄여드릴 수는 있을 것 같다.

먼저, 나는 문구류는 주로 대한문구에서 샀다. 볼펜 리필이 750원하는, 아주 유용한 곳이다. 브랜드별로, 모델별로, 굵기별로 대부분의 볼펜 리필심을 갖추고 있다. 내가 아는 한 여기가 제일 싸다. 볼펜 외에 형광펜, 칼 타공기를 사기에도 좋다.
개인적으로, 평소에는 새 볼펜을 사서 쓰던 분이라도 임용 공부하면서는 리필심을 사서 쓰기를 추천한다. 왜냐하면 (손으로 공부하는 분이라면 특히) 볼펜을 많이 쓰기 때문이다. 나의 경우, 대개는 한 달에 적으면 2개, 많으면 7개의 리필심을 사용했다.

 

문구도매쇼핑몰 대한문구

문구, 학용품 쇼핑몰, 캐릭터 팬시, 어린이선물, 학원, 교회 및 유치원선물전문 쇼핑몰입니다

koreamg.com

볼펜 말고도 내가 썼던 문구류를 이것저것 적어 보겠다.

1. 종이

나는 논술 시작과 함께 애니 캐넌의 논술 답안지를 사용했다. 무엇보다도 실전과 같은 종이에서 연습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. 모의고사를 풀 때는 답안지 세트를 그대로 쓰기엔 종이가 다소 아깝게 느껴졌다. 그래서 애니 캐넌의 OMR 떡메모지를 구매해 거기에 볼펜들을 매번 바꿔가면서 써 보았다. 종이 질감이 실제 답안지와 같기 때문에 현장에서 어떤 느낌으로 쓰일지 충분히 테스트해볼 수 있다.

 

OMR 재질 노트패드 A4 양면 대떡메 공시생 노트필기 떡메모지[OMR 종이에 사각사각] : 애니 캐넌

[애니 캐넌] 당신과의 동행

smartstore.naver.com

 

2. 볼펜

임용 시험지 표지에 보면 '동일한 검정색 볼펜'을 사용해야 한다고 적혀 있다. 그러니까 중간에 잉크 종류나 펜 굵기가 바뀌면 안 된다는 뜻이다. 그래서 나는 같은 심이 들어간 볼펜을 두 자루 준비해서 가져갔다.
다음은 내가 테스트했던 볼펜들이다. 아래는 임용 짐들을 버리기 전에 가지고 있었던 볼펜들. 내가 써본 모델은 제트스트림, 사라사, 사라사 드라이, 유니볼원(일반/저중심), 펜텔 에너겔(니들팁/일반팁), 자바펜. 동아 큐. 하나씩 장점과 단점을 풀어보겠다.

사라사, 내 손이 도장이 되리라. (절대 금물)
장점: 부드러운 필기감
단점: OMR카드에서 건조 안 됨. 빨리 닳음.
임고 시험장에서 절대 금물. 왜냐하면 내 손에 잉크가 묻는 순간, 내 손이 도장이 된다. 원래도 펑펑 나오는 잉크와 함께 부드러운 필기감으로 유명하지만, 그게 여기서는 단점이 된다. 30분이 지나도 마르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다.

사라사 드라이, 왼손잡이라면 써볼만한.

장점: 절대 번지지 않음. 2초면 건조됨. 글씨가 진하게 나옴.
단점: 빨리 닳음. 잘 나오는 듯 뻑뻑한 느낌.
1초면 끝부분이 약간 번질 수도 있고 2초면 다 마르는 데 충분하다. 극강의 건조력이 돋보이는 제품이다. 그래서 왼손잡이에게 추천한다. 왼손잡이가 쓰기 편한 펜 중에서 가장 진하게 나온다. 다만 볼펜 몸통은 펜텔 에너겔에 끼워 쓰는 편이 더 좋다.
건조력 빼고는 모든 걸 버렸다. 모의고사 3세트 풀고 나면 한 개 다 썼다. 그래서 돈이 많이 들 수 있다. 그리고 다소 뻑뻑하다.

제트스트림, 손목에게 미안.
장점: 번지지 않음. 쉽게 구할 수 있음. 보존성도 좋음.
단점: 높은 필압 필요. OMR에서 쓰면 평소보다 연하게 나오고 글자가 끊기기도 함.
개인적으로 제트스트림은 임고생에게 비추한다. 사람의 필각이나 평소 습관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도 하겠지만, 나도 그렇고 내 주변도 그렇고 OMR에서 글자가 잘 안 써졌다. 나는 아예 잉크가 나오지 않았고, 다른 사람들은 꾹꾹 눌러썼다. 그 결과 주변에 제트스트림 1년 내내 쓰던 동기들은 여름방학 때 정형외과에 물리치료 다녔다. 그래서 비추.

펜텔 에너겔, 일본 펜은 파이롯트 빼고 전 브랜드 리필심 사용 가능!
장점: 부드러운 필기감. 그립부의 좋은 고무! 사라사/제트스트림/유니 리필심 모두 사용 가능. 똑딱이와 뚜껑 중 선택 가능. 낮은 필압으로 사용 가능. 적당한 소비 속도(모의고사 풀세트 5~6회 푸는 정도).
단점: 난 잘 모르겠음. 왼손잡이가 쓰기에는 약간 느린 건조 속도? 디자인이 못 생겼다.
마지막의 마지막까지 팬텔 에너겔과 유니볼원 사이에서 고민했다. 우리 스터디 6명 중 3명은 펜텔 에너겔을 가져갔고, 나머지 3명은 유니볼원을 가져갔다. 나는 에너겔 본체에 유니볼원을 넣은 것 하나, 유니볼원 저중심 하나 이렇게 두 개를 가져갔다.
일단 호환이 된다! 펜텔 에너겔 본체에는 제트스트림도, 사라사도, 유니, 유니볼원 모두 넣어서 쓸 수 있다. 그래서 이거 본체 하나만 사면 리필만 바꿔가며 1년 내내 쓸 수 있다.
본체를 잘 만들었다. 그립부 고무가 이 가격대에서는 가장 튼튼하다. 2개를 번갈아 썼을 때 1년 내내 써도 고무가 거의 망가지지 않았다. 그래서 펜텔 에너겔 하나는 사기를 권장한다.
선택지가 많다. 먼저 뚜껑형/똑딱이형 중에 선택할 수 있다. 에너겔 트라디오는 뚜껑형, 그냥 에너겔은 똑딱이형이다. 뚜껑형과 똑딱이형 둘 다 잘 만들었고, 작동형태가 다름에도 이 두 가지의 무게 중심이 비슷하게 느껴진다.
리필심의 촉 부분도 니들팁과 둥근 팁 두 가지가 있다. 니들팁은 모델명에 N이 들어간다. 섬세하게 느껴지는 대신 필압이 강한 사람에게는 다소 불안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. 둥근 팁은 안정감이 있는 대신 조금 더 눌러 쓰는 느낌이다.

유니볼원, 나의 최종 선택.

유니볼원은 두 종류가 있다. 저중심과 저중심이 아닌 것. 왼쪽 사진에 1800원이 저중심, 900원이 일반형이다. 두 개는 심은 같은데 무게중심이 완전히 다르다. 하나씩 사서 써볼만 하다. 볼펜을 이것저것 써볼 생각이라면 꼭 유니볼원 두 종류를 사보길 권장한다.

유니볼원 일반형
장점: 부드러운 필기감. 적당한 소비속도. 가벼운 본체. 그립부 고무 있음. 다양한 색상으로 필기할 때도 좋음.
단점: 가벼워서 글씨가 미끄러질 수 있다. 그립부 고무 하얀색이라서 때 탄다. 방치하면 마른다.
필기감이 굉장히 부드럽다. 에너겔과 비슷하다면 비슷한 느낌이다. 둘 다 손목에 무리가 안 가는 느낌으로 글을 쓸 수 있다.
나오는 색상도 굉장히 다양하다. 위에 유니볼원 사진을 보면 하얀 바탕에 빨주노초파남보가 보인다. 저 색깔 잉크가 들어있다. 그래서 검정 말고 다양한 색으로 필기할 때도 유용하다. 다만 저 색깔 리필은 대한문구에 안 판다.
가볍다. 그래서 손목에 무리 없이 쓸 수 있다.
에너겔보다는 잉크가 덜 펑펑 나오는 느낌이다. 그러나 실제 소비하는 속도는 비슷했다.
다만 한 달쯤 안 쓰면 잉크가 잘 안 나올 수도 있다. 1차 치고 2차 칠 때 되니 글씨가 다소 끊겼다.
유니볼원 저중심
장점: 가만히 있어도 잉크가 나오는 듯한 느낌. 극강의 안정감. 튼튼함. 매트라 때 안 탐.
단점: 그립부 고무 없음. 리필심 호환 안 됨.
쓰는 부분에 쇠가 있어 약간의 무게감이 느껴진다. 무게감이 있으면 손목에 무리가 갈 것 같지만 오히려 손목에 힘을 빼서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. 가만히 있어도 잉크가 나오는 느낌이라 눌러쓸 필요가 전혀 없다.
글씨도 평소보다 정중하게 써진다. 나는 임고 현장에 저중심과 에너겔 두 개를 준비시켜두고(잉크는 같은 걸 넣어두고) 처음에는 무거운 걸로 쓰다가 급해졌을 때는 가벼운 걸로 달렸다.
매우 튼튼하고 때도 안 탄다. 이리저리 굴러도 깨지지 않는다. 이건 꼭 한 번 써보라고 이야기하고 싶다. 임용하면서 이거 한 다발 사다가 엄마도 주고 친구도 주고 3학년 후배들도 나누어줬다.
그립부는 꽤 두꺼운 편.
딱 하나 단점이, 그립부에 고무가 없다는 것. 나는 애벌레 그립을 사다가 끼워서 썼다.
* 참고로 애벌레 EVA 그립은 식용유 발라서 꼈다.

동아 큐노크/큐스틱, 저렴한 가격이 최고.
장점: 저렴한 가격. 왼손잡이에게 퀵드라이 추천
단점: 1년 내내 쓰기엔 허약한 본체, 딱딱한 그립부
압도적인 가성비가 돋보인다. 가격차가 2~3배? 퀵드라이 잉크의 경우 왼손잡이도 쓸만할 것 같다.
다만 본체가 조금 약하다. 망가진다. 임고 기간 내내 쓰려면 본체를 5개 정도는 준비해두어야 할 것 같다.
그립부가 딱딱하다. 고무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는데 없는 건 없어서 딱딱하고, 고무 있는 건 고무가 있어도 딱딱하다. 그래서 9월까지 동아 쓰던 친구들도 시험 한 달 앞두니 스멀스멀 에너겔이나 유니볼원으로 많이 옮겨왔다.

자바, 잉크가 회색
장점: 안 번진다. 그립부 나쁘지 않다.
단점: 제트스트림보다 더 안 나온다. 잉크가 검정보다는 회색에 가깝다.

결론

- 오른손잡이라면 에너겔, 유니볼원 추천.
- 본체는 에너겔, 에너겔 트라디오, 유니볼원 다 써보는 것 추천.
- 무거운 펜 하나, 가벼운 펜 하나 들고 가는 조합도 꽤 좋다.
- 두꺼운 펜이 좋다면 멀티펜에 잉크는 다 검정으로 바꿔서 가져가는 것도 방법.
- 왼손잡이라면 사라사 드라이나 동아 큐.
* 그 이외 궁금한 점은 댓글 남겨주세요.

3. 형광펜

형광펜으로 보통 마일드라이너를 많이 쓴다. 색이 진하지 않고, 색상도 다양하다. 그런데 그거 쓰다가는 지갑이 거덜난다. 특히 형광펜 공부법 쓰는 사람은 더 그렇다.
내가 추천하는 건 스테들러 트리플러스샤피.
둘 다 색깔 선택지가 다양하고, 처음 뜯었을 때와 다 써갈 때의 색 차이가 가장 적고, 무엇보다도 가장 오래 간다. 친구가 쓴 걸 보니 마일드라이너는 잉크가 한 50프로 남았을 때부터 색이 희끄므리해진다.
나의 경우, 3색 형광펜 공부법을 썼다. 노란색을 일주일에 하나 꼴로 썼다. 근데 스테들러라서 그만큼 견뎠다. 샤피도 체감상 비슷하게 가는 것 같다.

4. 타공기

타공기는 칼 타공기 쓰는 사람과 3공 쓰는 사람이 있다.
칼 타공기의 장점은 A4 30공이라 튼튼하다. 종이 사이즈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. 부피가 크지 않아 휴대성이 좋다. 단점은 한 번에 5장 정도 밖에 못 뚫어서 시간이 많이 걸린다.
3공 타공기는 시원하게 한 방에 뚫을 수 있다. 그런데 쓸 수 있는 종이 사이즈가 어느 정도 정해져 있고, 휴대가 힘들다. 고리 끼는 부분이 잘 찢어진다.
나는 칼 타공기를 썼다. 내 다이어리가 칼 타공기 사양이었기 때문이다. A5 다이어리에 플래너와 공부할 거리를 넣어서 다녔다. 칼 타공기 쓰는 사람이라면 플랜커스 20공 플래너 속지 사용 추천한다.

 

플랜커스 Plancus :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

나만의 DIY 다이어리로 기록을 시작해보세요.

smartstore.naver.com

 

5. 독서대

나는 2단 독서대는 필요성을 못 느꼈다. 매일 학교 스터디룸 오픈런을 해야 했기 때문에 휴대성이 1번이었다. 1년동안 알라딘 패브릭 독서대를 사용했다. 이렇게 생긴 것. 가볍고 납작하다.

 

[페이보릿띵즈] 패브릭 독서대

[페이보릿띵즈] 패브릭 독서대

www.aladin.co.kr

모닝글로리 철제 독서대도 추천한다. 납작해지고, 무게도 나쁘지 않으면서 임고책을 안정적으로 감당한다.

 

[CA43] 모닝글로리 16000 슬림 철제 독서대 책거치대 (다크브라운/그레이) 35%할인

본 결체 창은 결제완료 후 자동으로 닫히며,결제 진행 중에 본 결제 창을 닫으시면 주문이 되지 않으니 결제 완료 될 때 까지 닫지 마시기 바랍니다.

koreamg.com

 

6. 스톱워치

스톱워치는 드렉텍을 썼다. 꼭 이걸 써야 할 필요는 잘 모르겠지만, 별 탈 없이 1년 넘게, 건전지도 바꾸지 않고 쓸 수 있다.
스톱워치는 두 가지는 피하기를 권한다. 중국산 충전형과 다2소 스톱워치. 둘 다 스터디원이 쓴 것이다. 중국산 충전형(소위 백종삼)은 어느날 뻥~하는 소리와 함께 부풀어 오르고 뜨거워지더니 다시는 쓸 수 없게 되었다. 다2소 스톱워치는 2주만에 파업했다.

7. 인덱스 스티커

이건 꼭 있어야 하는 건 아니고 나는 유용하게 쓴 것. 교재에 각 파트/과목 시작하는 부분에 붙여서 썼다.

 

플랜커스 다이어리 인덱스 탭 스티커 : 플랜커스 Plancus

[플랜커스 Plancus] 나만의 DIY 다이어리로 기록을 시작해보세요.

smartstore.naver.com

 

+ Recent posts